소개글 안녕하세요. 인하대 컴퓨터 공학과를 재학중인 4학년 학생 입니다.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Notion으로 적어놓던 지식들을 잘 정리하여 블로그로 남기고자 시작하게 됐습니다. 분야 주로 백엔드 관련 지식들에 대해 다룰 예정이며, 각종 CS 지식들과 알고리즘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과 배운 점에 대해서도 작...
블로그 첫 글 작성
2024년도 회고 및 새해 다짐
2024년도 회고 지금 드는 생각 인생에서 제일 바쁘고, 마음 졸이던 대학교 4학년 취준 시즌을 지나고 보니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정말 많은 기회를 얻었던 한 해였다고 생각이 든다. 작년에 가장 큰 업적은 시장이 불안정한 지금 시기에 칼취업을 했다는 것과 그 기업이 삼성전자라는 것이다. 내가 피나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거짓...
최근 포스팅을 하지 못하고 있던 이유
요즘 취업 준비, 졸업 프로젝트, 현장 실습 인턴을 병행하다 보니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회고하는 시간을 갖지 못했다. 현재 어깨에 짊어진 책임들이 많아 9시부터 6시까지 회사 개발 업무를 마친 뒤, 집에 돌아와 지원서 작성과 코딩 테스트 대비를 하고 있다. 졸업 프로젝트 또한 틈틈히 개발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쉴 시간은 잠자는 시간 때...
cold publisher vs hot publisher
Cold Publisher Cold Publisher: 구독자(subscriber)가 구독할 때마다 데이터 스트림을 처음부터 새로 생성한다. 각 구독자는 전체 데이터 시퀀스를 받는다. 구독자가 없으면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lazy). 예: 파일 읽기, 데이터베이스 쿼리 실행 ...
단일 시계열 모델 분석 - Prophet
Prophet Meta Prophet은 시계열 데이터의 예측을 위해 Facebook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다. Prophet은 자동화된 이상 탐지 및 계절성 분석을 지원한다. 장점 Meta에서는 Prophet의 장점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완전 자동화 : 데이터가 복잡해도 별다른 수작업 없이 합리적인 예측 결과를 ...
Mono와 Flux
Reactive Programming에서 Mono와 Flux는 Project Reactor 라이브러리의 핵심 구현체로, 둘 다 Publish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다. 이들의 주요 특징과 차이점을 설명한다. Mono: 0 또는 1개의 요소를 발행하는 Publisher이다. 주로 단일 결과를 반환하는 비동기 작업에 사용된다. ...
Publisher/Subscriber 구현을 통해 원리 이해하기
이번엔 간단한 구현을 통해 Publisher와 subscriber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려고 한다. 필요한 의존성 build.gradle 파일 설정 plugins { id 'java' } group = 'com.example' version = '1.0-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21' tar...
Reactive Programming 이론
동기,비동기 / blocking, non-blocking 동기적이다 : 어떤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처리한다는 것이다.(즉, 순서가 명확하다) 비동기적이다 : 여러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즉, 순서가 명확하지 않다) 1. 동기(Sync) + 블로킹(Blocking): 가장 전통적인 방식이다. 작업이 완...
Spring에서 STOMP을 활용하기 위한 이론 지식
STOMP란? Simple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는 간단한 텍스트 기반의 메시징 프로토콜이다. 웹 소켓 위에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비동기 통신을 위해 설계됐다. TCP 또는 WebSocket 같은 양방향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 pub/sub 구조로 동작 프로토콜 특징 ...
단일 시계열 모델 분석-ARIMA
시계열 데이터의 속성 시계열 데이터의 정의 데이터는 관측 시점과 변수에 따라 크게 2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횡단면(비 시계열) 데이터(Cross-Sectional) 한 시점에 여러 변수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것. 시계열(종단면) 데이터(Time-Ser...